[강의메모] 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 ch1. JDBC 이해

인프런 김영한님 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강의 중 1장을 보고 핵심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JDBC 표준 인터페이스 등장 이유 

(일반적으로 사용할 때)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DB 

  1. 커넥션 연결: 주로 TCP/IP를 사용해서 커넥션을 연결
  2. SQL 전달: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DB가 이해할 수 있는 SQL을 연결된 커넥션을 통해 DB에 전달
  3. 결과 응답: DB는 전달된 SQL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응답

문제는 과거에는 각각의 데이터베이스마다 사용법(앞서 말한 3단계 방법)이 달랐다.

 

이로 인해 생기는 2가지 큰 문제가 있었다.

1. 변경에 취약 : 데이터베이스를 다른 종류의 데이터베이스로 변경하면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개발된 데이터베이스 사용 코드도 함께 변경해야 했다.
2. 새로운 사용법을 학습 : 개발자가 각각의 데이터베이스마다 커넥션 연결, SQL 전달, 그리고 그 결과를 응답 받는 방법을 매번 새로 학습해야 
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JDBC라는 자바 표준 인터페이스가 등장했다.

 

JDBC 표준 인터페이스

JDBC(Java Database Connectivity)는 자바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자바 API다.

JDBC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자료를 쿼리하거나 업데이트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  위키백과

대표적인 3가지 기능을 표준 인터페이스로 정의해서 제공한다. 

  • java.sql.Connection  - 연결
  • java.sql.Statement  - SQL을 담은 내용
  • java.sql.ResultSet  - SQL 요청 응답

JDBC Driver의 의미

JDBC 인터페이스를 각각의 DB 벤더(회사)에서 자신의 DB에 맞도록 구현해서 라이브러리로 제공하는데, 

이것을 JDBC 드라이버라 한다. 

(예, MySQL DB에 접근 할 수 있는 것은 MySQL JDBC 드라이버)

 

2가지 문제 해결

공통으로 처리하고 싶었던 대표적인 3가지 기능을 JDBC 인터페이스로 추상화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는 JDBC 인터페이스에만 의존하여 개발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이로 인해 해당 JDBC를 구현한 드라이버만 교체한다면 애플케이션 코드 교체가 없기에 변경에 취약하지 않게 되었고,

굳이 DB별 학습할 필요가 없어지게 된다.

 

아직 남은 문제 (SQL 사용)

다만 이걸로 완전히 해결된 것은 아니다

JDBC 코드는 이제 변경하지 않고 해결할 수 있게 되었지만,

해당 데이터베이스마다 사용법이 다른 SQL은 아직 변경해야했다.

(물론 이는, JPA를 사용하면 많은 부분 해결가능하다.)

 

JDBC와 최신 기술

SQL Mapper

  • 장점: JDBC를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도와준다.
    • SQL 응답 결과를 객체로 편리하게 변환해준다. 
    • JDBC의 반복 코드를 제거해준다.
  • 단점: 개발자가 SQL을 직접 작성해야한다. 
  • 대표 기술: 스프링 JdbcTemplate, MyBatis

  • ORM은 객체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테이블과 매핑해주는 기술
  • 이 기술 덕분에 개발자는 반복적인 SQL을 직접 작성하지 않고, 
  • ORM 기술이 개발자 대신에 SQL을 동적으로 만들어 실행해준다.
  • 각각의 데이터베이스마다 다른 SQL을 사용하는 문제도 중간에서 해결해준다.
  • 대표 기술: JPA, 하이버네이트
  • JPA는 자바 진영의 ORM 표준 인터페이스이고, 이것을 구현한 것으로 하이버네이트가 있다

SQL Mapper vs ORM 기술 (장단점)

SQL Mapper - SQL을 직접 작성해야하지만 SQL만 작성한다면 쉽게 배울 수 있다.

ORM - SQL를 많은 부분 작성하지 않아도 되지만, 쉬운 기술은 아니다.

 

중요한 건 - 내부에는 JDBC가 있다.

한 순간에 관련 기술들이 나온 것이 아니다.

해당 기술들의 내부에는 모두 JDBC를 사용한다.

편리하게 JDBC를 쓸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술이지 JDBC를 쓰지 않는다 이것은 절대 아니다!!

 

 

JDBC의 DriverManager

라이브러리에 등록된 DB 드라이버를 관리하고, 커넥션을 획득하는 기능을 제공 

 

커넥션을 획득하는 과정 (URL을 통해)

  1. 애플리케이션 로직에서 커넥션이 필요하면 DriverManager.getConnection() 을 호출
  2. DriverManager는 라이브러리에 등록된 드라이버 목록을 자동으로 인식하는데, 드라이버들에게 순서대로 다음 정보를 넘겨서 커넥션을 획득할 수 있는지 확인
    • URL: 예) jdbc:h2:tcp://localhost/~/test
    • 이름, 비밀번호 등 접속에 필요한 추가 정보
    • 각각의 드라이버는 URL 정보를 체크해서 본인이 처리할 수 있는 요청인지 확인한다.
    • 예를 들어서 URL이 jdbc:h2 로 시작하면 이것은 h2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기 위한 규칙이다.
  3. 이렇게 찾은 커넥션 구현체가 클라이언트에 반환

참고자료 및 출처

https://www.inflearn.com/course/%EC%8A%A4%ED%94%84%EB%A7%81-db-1/dashboard

 

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 김영한 - 인프런

김영한 | 백엔드 개발에 필요한 DB 데이터 접근 기술을 기초부터 이해하고, 완성할 수 있습니다. 스프링 DB 접근 기술의 원리와 구조를 이해하고, 더 깊이있는 백엔드 개발자로 성장할 수 있습니

www.inflearn.com